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때,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일정 금액을 지원받는 제도입니다.
올해 금액 기준에 따른 실업급여를 계산해 보고, 어떠한 조건에 따라 실업급여를 받고 신청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 계산, 얼마나 받을까?
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1일 단위로 계산됩니다.
먼저 평균임금은 퇴직 전 3개월간의 총 임금을 해당 기간의 총일수로 나눕니다.
1일 실업급여액 계산을 위해 평균임금의 60%를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퇴직 전 3개월간 총 임금이 900만 원에 대해 실업급여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 평균임금 : 900만 원 ÷ 90일 = 100,000원
- 1일 실업급여액 : 100,000원 × 60% = 60,000원
실업급여는 하루 상한액과 하한액이 정해져 있는데, 2025년 기준으로는 1일 상한액 66,000원, 하한액 64,192원입니다.
앞서 확인한 1일 실업급여액이 60,000원이지만 하한액 적용으로 64,192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그럼 1일 실업급여액을 1개월간 받게 된다면 64,192원 × 30일 = 1,925,760원을 수령합니다.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실업급여 모의계산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나의 실업급여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지급 기간
실업급여의 지급일수는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 | 만 50세 미만 | 만 50세 이상, 장애인 |
1년 미만 | 120일 | 120일 |
1년 이상 ~ 3년 미만 | 150일 | 180일 |
3년 이상 ~ 5년 미만 | 180일 | 210일 |
5년 이상 ~ 10년 미만 | 210일 | 240일 |
10년 이상 | 240일 | 270일 |
10년을 넘은 근무 기간에 대한 사항은 반영되지 않으며, 만 50세 미만은 최대 240일, 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은 270일이 최대 지급 기간입니다.
실업급여 신청 방법
실업급여 신청은 퇴사일 다음날 이후 12개월 이내에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모두 가능합니다.
신청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사업주에게 상실신고서 및 이직확인서 제출을 요청합니다.
단, 예술인과 노무제공자로 근로한 사업자의 경우 이직확인서가 불필요합니다.
② 고용센터 또는 고용 24 사이트를 통하여 구직신청을 합니다.
③ 취업설명회에 참석하여 제도에 대한 설명을 듣습니다.
④ 구직 의지를 보여 주는 재취업활동 계획서를 제출합니다.
⑤ 2주마다 실업 인정을 받고 구직활동을 보고 합니다.
이직확인서의 경우 퇴사 후 10일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며, 신고 방법은 고용 24 사이트 또는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로 방문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신청 단계별 메뉴는 고용24 사이트를 통해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수급 요건
퇴사한 근로자라고 누구나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① 고용보험 가입 기간 : 이직 전 18개월 동안 최소 180일 이상 근무를 해야 합니다.
② 재취업 의사 :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취업을 못한 상태여야 합니다.
③ 비자발적 퇴사 : 부득이한 경우로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퇴사한 경우여야 합니다.
④ 적극적인 구직활동 : 정해진 횟수의 구직활동을 해야 합니다.
** 65세 이후에 고용된 경우에는 실업급여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비자발적인 퇴사 조건과 관련하여 예외적으로 자발적인 퇴사 시에도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 근로자의 정당한 사유에 따른 자발적 퇴사 : 직장 내 괴롭힘 또는 차별, 통근 곤란, 건강상의 이유, 계약 종료 또는 정년 도래 등과 같은 사유
- 사업장의 정당한 사유에 따른 자발적 퇴사 : 폐업·도산 등의 경영상 이유, 근로조건 위반 또는 저하 등과 같은 사유
실업급여는 실직자의 생계를 보호하고 재취업을 돕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본인이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액수와 지급 기간을 정확히 계산하고, 신청 절차를 잘 따라가면 원활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배달 알바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하나요? (배달라이더 종소세) (0) | 2025.04.25 |
---|---|
2025년 증여세 면제한도 총정리: 가족 간 증여, 절세 전략까지 (0) | 2025.04.17 |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으로 넷플릭스 할인받기: 가격, 혜택, 가입 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5.04.09 |
다자녀 전세특례: 다둥이 가구를 위한 전세 지원 정책 (0) | 2025.03.31 |
기준중위소득 250%란? 기준금액과 혜택 총정리 (0) | 2025.03.27 |
연차 발생 기준, 연차 산정, 연차수당 계산 : 1년 미만 근로자, 1년 이상 근로자 (0) | 2025.03.24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하자 : 신청방법, 대상자, 지급방식, 절약 가이드 (0) | 2025.03.20 |
파킹통장 금리비교: 1금융권과 저축은행 Top 파킹통장, 가입 시 주의사항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