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의 예·적금 금리가 내려가면서 예금으로 재테크를 하는 분들은 파킹통장에 관심이 많으실 텐데, 요즘 높은 금리의 은행권과 파킹통장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1 금융권과 저축은행 파킹통장 Top3 상품, 상품들의 금리비교, 파킹통장 선택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파킹통장 특징
파킹통장은 단기간 동안 현금을 예치하면서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을 의미합니다.
특히, 일반 입출금 통장과 같이 돈을 자유롭게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데, 이자는 더 놓게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권의 파킹통장은 최대 5천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됩니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자금의 유동성이 있어야 하거나, 단기간 목돈이 생긴 경우에는 파킹통장을 활용한다면 필요에 따라 자금을 효율적으로 활용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1 금융권 파킹통장 top3
1) SC제일은행 - Hi통장
SC제일은행의 'HI통장'은 1 금융권에서 현재 시점으로는 가장 높은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는 파킹통장입니다.
개인 및 개인사업자라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고,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1인당 5천만 원까지 보호됩니다.
기본 금리는 0.1%이며, 우대 조건에 따라 최고 금리가 적용된다면 최고 3.4% 이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우대 조건에 따라 적용되는 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첫 거래 고객 우대 : 잔액 구간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어 1억 원 이하인 경우에는 연 1.8% 금리가, 3억 원 초과 시에는 연 2.8%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제휴 채널을 통한 가입 : 페이코, 네이버페이 등의 제휴 채널을 통해 가입 시 연 0.1% 이율이 적용됩니다.
- 마케팅 동의 : 휴대폰 메시지와 전화 동의를 모두 하는 경우 연 0.2% 이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고객 등급 우대 : 프라이어리티 등급의 고객인 경우에는 0.2% 이율을 적용받습니다.
2) 전북은행 - 씨드모아 통장
전북은행 '씨드모아 통장'은 전북은행 첫 거래 고객일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첫 거래 고객은 전북은행 최초 신규 등록 고객 또는 해당 상품 가입일 직전 1개월 동안 전북은행 원화 입출금통장 보유이력이 없는 고객을 의미합니다.
기본금리는 연 2.3%에 이벤트 우대금리 연 0.71%를 적용하면 최대 연 3.01%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벤트 우대금리는 2025년 3월 31일까지 가입하고 아래 조건 충족 시 가입일로부터 3개월간 제공됩니다.
- 마케팅활용 동의(상품서비스 안내수단 전체 동의) : 0.5%
- 매일의 최종 잔 앤이 3억 원 이상일 경우 : 0.21%
3) 하나은행 - 달달 하나 통장
하나은행 '달달 하나 통장'은 만 14세 이상의 개인 및 개인사업자라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최대 연 3%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파킹통장으로, 기본금리는 0.1%입니다.
최대 금리 적용을 위해서는 급여이체가 연동되어 있고(연 1.9%), 3월 말일까지 가입(1%)하면 최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파킹통장은 모두 첫 거래 고객이라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 것과 비교하여 급여이체 실적만 충족하면 되니 가입과 우대금리 적용에 가장 제한이 없는 1 금융권 고금리 파킹통장이라고 생각됩니다.
저축은행 파킹통장 top3
1) OK저축은행 - OK짠테크통장
저축은행에서 가장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OK짠테크통장은 OK저축은행 보통예금을 보유하지 않았다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은행상품이므로 저축은행 파킹통장도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5천만 원까지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OK짠테크통장은 기본적으로 연 6.5%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데, 기본금리는 예치금액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예치금액이 50만 원을 초과하고 1억 원 이하라면 연 2.5%, 1억 원을 초과하면 연 0.5% 기본금리가 적용됩니다.
우대금리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4대 페이 등록 : 0.5%
- 마케팅 동의 : 0.2%
2) OK저축은행 - OK×피너츠공모파킹통장
'OK×피너츠공모파킹통장'은 OK짠테크통장과 가입조건이 유사한데, OK저축은행 보통예금을 보유하지 않아야 가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상품은 피너츠 공모주 앱을 통해서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기본금리는 50만 원 이하를 예치하는 경우에는 연 7.0%, 1억 원 이하인 경우에는 연 2.7%, 1억 원 초과인 경우에는 연 1.0%의 금리를 적용받게 됩니다.
해당 상품은 우대금리가 없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애큐온저축은행 - 머니모으기
머니모으기 파킹통장은 가입조건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1만 원부터 200만 원까지 자유롭게 예치가 가능합니다.
특이한 점은 내가 모으고 싶은 목표 금액을 설정하고 일정기간 동안 나눠서 적금과 같은 방식으로 납입하는 통장입니다.
기본금리는 연 2%이며, 머니모으기 성공 시 우대금리로 2%가 주어지며, 꿈콩이 응원하기 1% 또는 애큐온 마케팅 동의 시 0.5% 중 선택하여 우대금리를 추가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1 금융권,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비교
1 금융권과 저축은행 상위 3 파킹통장의 주요 내용 및 금리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상품명 | 금융기관 | 기본금리 | 최대 우대금리 | 예치금액 |
Hi통장 | SC제일은행 | 0.1% | 3.9% | 제한없음 |
씨드모아 통장 | 전북은행 | 2.3% | 0.71% | 제한없음 |
달달 하나 통장 | 하나은행 | 0.1% | 2.9% | 제한없음 |
OK짠테크통장 | OK저축은행 | 6.5 ~ 0.5% | 0.7% | 제한없음 (단, 금액별 금리 차등적용) |
OK×피너츠공모파킹통장 | OK저축은행 | 7.0 ~ 1.0% | - | 제한없음 (단, 금액별 금리 차등적용) |
머니모으기 | 애큐온저축은행 | 2.0% | 3% | 1만 원 ~ 200만 원 |
파킹통장 가입 시 주의사항
파킹통장 가입 시 고려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 고려사항에 따라 본인의 상황에 적합한 금융기관의 상품을 선택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① 금리 변동 가능성
금융기관은 금리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가입 당시의 적용받는 금리를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합니다.
② 예치 한도 확인
일부 파킹통장은 특정 금액까지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 초과분에 대해 낮은 금리가 적용되므로 본인이 예치할 수 있는 자금에 따라 유리한 금리를 적용받는 받을 수 있도록 상품 선택을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③ 우대 금리 조건 충족 여부
우대 금리를 받기 위해 일정 조건(첫 거래 고객, 급여 이체, 자동이체, 마케팅 동의 등)을 충족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우대 금리 기간이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가입 전 약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④ 이자 소득세(15.4%) 고려
이자 소득에 대해 일반 과세(이자 소득세 15.4%)가 부과되므로, 실제 수령하는 금액은 세전 이자보다 적습니다. 추후 세금을 제외한 실제 수익을 고려하고 가입해야 할 것입니다.
⑤ 예금자 보호 한도 확인
1 금융권(은행) 파킹통장은 5,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가능합니다.
다만,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5,000만 원까지만 보장되므로 초과 예치 시 리스크가 있습니다.
⑥ 출금·입금 제한 여부
일부 파킹통장은 출금 및 입금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예치 기간에 따른 조건(예: 일정 기간 유지해야 금리 혜택 적용)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⑦ 자동 해지 및 조건 변경 가능성
특정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기본 금리로 변경될 수 있고, 금융기관이 정책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품에 대한 정기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자녀 전세특례: 다둥이 가구를 위한 전세 지원 정책 (0) | 2025.03.31 |
---|---|
기준중위소득 250%란? 기준금액과 혜택 총정리 (0) | 2025.03.27 |
연차 발생 기준, 연차 산정, 연차수당 계산 : 1년 미만 근로자, 1년 이상 근로자 (0) | 2025.03.24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하자 : 신청방법, 대상자, 지급방식, 절약 가이드 (0) | 2025.03.20 |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100% 활용하기: 신청방법, 주의사항 등 (0) | 2025.03.13 |
문화누리카드 신청하자. 발급조건, 신청방법, 사용처 등 (0) | 2025.03.12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신청방법, 한도 및 금리,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 비교! (0) | 2025.03.07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혜택 챙겨, 가입하기! (0) | 2025.03.07 |